글로벌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할 때 꼭 알아야 할 세 가지
하이일드 채권(high yield bond), 또는 고수익 채권은 오랫동안 ‘정크 본드’라는 오명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시장의 구조와 특성이 크게 변화하면서,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수익과 분산 효과를 제공하는 전략적 자산군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본 자료에서는 오늘날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할 때 꼭 알아야 할 세 가지 핵심 포인트를 소개합니다.
1. “정크 본드”라는 표현, 더 이상 유효하지 않아
과거 하이일드 채권은 낮은 신용등급과 높은 부채비율을 가진 소규모 기업이 발행하는 고위험 자산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10년간 시장의 크레딧 퀄리티는 눈에 띄게 개선되었습니다.
도표 1: 퀄리티가 개선된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 시장
자료: ICE BofA Developed Markets Non-Financial High Yield Constrained Index (HNDC) 기준. 2025년 6월 30일 기준.
BB 등급 채권이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년 전 40%에서 현재 57%까지 증가했습니다.1 이는 하이일드 채권 시장이 ‘정크 본드’라는 오명을 벗고, 과거보다 신용도 높은 기업 중심으로 구조적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세계 최대의 크루즈 여행 기업 Carnival과 영국의 통신 기업 Virgin Media 등 글로벌 브랜드를 포함한 대형 기업들이 발행 시장에 진입하면서, 하이일드 채권은 더 이상 소규모 고위험 기업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베어링자산운용에서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 투자를 총괄하는 스콧 로스 대표는 다음과 같이 강조합니다:
“정크 본드라는 용어는 시대에 뒤떨어진 표현이며,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 시장은 이제 혁신적인 브랜드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2. 타이트해진 스프레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매력적인 일드 수준
2025년 8월 기준, 미국 하이일드 채권의 평균 일드 수준은 6.9%에 달합니다.2 이는 투자자들이 하이일드 채권을 통해 의미 있는 수준의 인컴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또한, 하이일드 채권의 평균 듀레이션은 3년 미만으로, 금리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낮습니다. 이는 금리 변동기에도 채권 가격 하락을 완화하며, 총수익 확보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3
스콧 로스 대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디폴트율이 낮고 안정적인 환경에서는 낮은 스프레드 환경에서도 충분한 보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이일드 채권 투자는 단순한 스프레드가 아닌, 총수익 관점에서 바라봐야 합니다.”
3. ‘시장 타이밍’보다 중요한 것은 ‘시장에 머무는 시간’
많은 투자자들이 적절한 투자 시점을 고민하지만, 최근 시장은 사이클이 짧고 변동성이 빈번해 완벽한 타이밍을 맞추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도표 2: 글로벌 하이일드 시장의 상대 가치는 끊임없이 변화
자료: ICE BofA, S&P UBS, JP Morgan. 2025년 8월 31일 기준.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성과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오늘날의 글로벌 하이일드 시장은 미국과 유럽 전역의 다양한 채권과 대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 간 상대적 가치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관점에서 유연하게 투자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은 짧은 듀레이션, 높은 쿠폰 이자, 타 자산군과의 낮은 상관관계를 통해 매력적인 분산 투자 효과를 제공합니다.
결론: 투자 가치가 매력적인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
오늘날의 글로벌 하이일드 시장은 위험도가 큰 자산이라는 과거 이미지에서 벗어나, 크레딧 퀄리티 개선과 구조적 변화 속에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장기적 관점을 가지고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하이일드 채권 투자를 통해 꾸준히 인컴을 확보하면서 투자 분산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1 출처: ICE BofA Developed Markets Non-Financial High Yield Constrained Index (HNDC). 2025년 6월 30일 기준.
2 출처: Barings, ICE BofA Non-Financial Developed Markets High Yield Constrained Index (HNDC). 2025년 8월 31일 기준.
3 출처: Barings, ICE BofA Non-Financial Developed Markets High Yield Constrained Index (HNDC). 2025년 7월 31일 기준.
베어링자산운용 컴플라이언스 심사필 제 2025-4861077 호 (2025.10.01~2028.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