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베어링운용, 변동성 속 ‘캐리 중심’ 하이일드 전략 제시
- 변동성 국면에서도 하이일드 채권은 매력적인 캐리 수익 제공
- 단순 베타 추종 대신 액티브 종목 선별이 핵심
- 디폴트율은 장기 평균 하회 전망, 지역ㆍ섹터별 차별화로 선택적 기회 확대
2025년 10월 16일 – 베어링자산운용은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 시장에 대한 최신 전망 리포트를 통해 복합적인 거시 환경 속에서도 하이일드 채권이 안정적인 인컴 소스이자 포트폴리오 다각화 수단으로서 매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단순히 시장 흐름을 추종하는 베타 전략만으로는 초과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종목 선별과 원칙 기반의 투자 포지셔닝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경제는 성장세가 둔화됐지만 예상치를 웃돌며 연준(Fed)의 정책 완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다만 ‘골디락스’ 국면에서는 금리 인하 속도와 규모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 위험자산 선호는 완만히 개선되고 있으며, 일부 조정이 있더라도 긍정적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유럽은 회복세가 불균형한 모습으로, 유럽중앙은행(ECB)은 금리 조정의 일시 중단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런 환경에서도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은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 시장에서는 투자자 신뢰와 꾸준한 인컴 수요에 힘입어 자금 유입이 활발하다. 현재 스프레드는 좁은 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역사적 평균 대비 매력적인 수익률이 캐리 중심 환경을 뒷받침하고 있다.
펀더멘털 측면에서도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다. 하이일드 기업들은 매출과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에서 전년 대비 한 자릿수 중반대 성장률을 기록하며 둔화 국면 이후 회복 중이다. 자본 지출은 신중히 관리되고 있으며, 순레버리지는 미국 약 3.6배, 유럽 약 3.3배 수준으로 안정적이다.1 BB등급 비중은 약 60%로 10년 전 대비 크게 증가했고, 디폴트율은 미국과 유럽 모두 장기 평균을 하회할 전망이다.2,3 미국 대출시장의 연체율은 역사적 평균 수준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유럽은 매우 낮은 수준에서 정상화되는 과정에 있다.4 이러한 변화는 시장 전반의 위기가 아닌 일부 기업의 개별적 요인에 기인해, 철저한 보텀업(Bottom-Up) 분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킨다.
스콧 로스 베어링 글로벌 하이일드 투자 대표는 “현재 하이일드 시장은 스프레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고, 수익률도 여전히 매력적이다. 즉, 이자 수익이 성과의 핵심이 되는 ‘캐리 중심’ 환경이 이어지고 있다. 변동성이 반복되는 시기일수록 종목을 꼼꼼히 고르고, 규율 있는 포지셔닝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투-스피드(two-speed)’ 경제가 심화되며 섹터별ㆍ소득계층별 차별화가 확대되고 있다. 일부 섹터는 강한 수요와 가격 결정력을 바탕으로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는 반면, 경기 민감 섹터는 낮은 금융 비용에 의존하고 있다. 유럽은 비경기순환적 기업 비중이 높아 변동성 국면에서 영향이 제한적이며, 투자자들은 보다 명확하고 선택적으로 기회를 탐색할 수 있다. 하이일드 채권은 강력한 쿠폰 인컴과 약 3년의 짧은 듀레이션으로 하방 리스크를 완충하며 향후 몇 년간 우수한 총수익 달성 기회를 제공한다. 미국에서는 B등급 채권이 매력적인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으며, CCC등급은 선별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과는 고유한 성장 요인을 파악하고, 문제 소지가 있는 기업을 걸러내며, 기술적으로 저평가된 채권 기회를 포착하는 데서 달성될 수 있다. 향후에는 지역 및 시장 간 균형 잡힌 자산 배분으로 캐리 수익을 추구하는 한편, 시장 조정 국면에서는 선별적인 크레딧 익스포저 확대를 통해 추가 수익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출처: CreditSights. 하이일드 채권 시장 기준. 2025년 6월 30일 기준.
2 출처: ICE BofA; Barings. 2025년 9월 30일 기준.
3 출처: ICE BofA; UBS. 2025년 9월 30일 기준.
4 출처: S&P UBS Leveraged Loan Index; S&P UBS Western European Leveraged Loan Index; J.P. Morgan; Pitchbook. 2025년 9월 30일 기준.
해당 보도자료는 베어링자산운용의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 분기 전망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됐으며, 자료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베어링(Barings) 그룹
4,701억 달러(668조원)*의 수탁고를 보유한 글로벌 운용사 베어링자산운용은 차별화된 투자기회를 제공하며, 공 · 사모 채권 및 부동산, 주식 시장에 장기 투자합니다. 세계적인 생명보험사 매스뮤추얼(MASSMUTUAL)의 자회사인 베어링자산운용은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 현지에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 경영 및 책임 투자를 바탕으로 베어링자산운용은 고객 및 지역 사회, 임직원을 위해 오늘도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 (www.barings.com)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9월 30일 기준
베어링자산운용(한국법인) https://www.barings.com/ko-kr/individual
1988년 설립되어 35년 이상 국내자산 운용 및 리서치 경험을 지닌 베어링자산운용은 현재 국내 최대 독립 자산운용사 중 하나이다. 2025년 9월 30일 기준 총 운용자산은 22조 1천억원을 상회한다.
베어링자산운용 컴플라이언스 심사필 제 2025-4904170호(2025.10.15~2028.10.14)